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WS 기타]23

AWS - Route53 Route53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변환) Route53의 기능 Route53의 주요 레코드 유형 Route53 라우팅 정책 단순(Simple) 라우팅 도메인 네임을 도메인 네임 or IP주소로 라우팅 라우팅 대상(IP 주소)이 여러개일 경우 랜덤하게 라우팅됨 가중치 기반(Weighted) 라우팅 접속자가 요청하는 횟수의 가중치(%)를 기준으로 라우팅하는 방법 트래픽을 분산하거나 버전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하는 경우 유용 지연시간(Latency) 라우팅 가장 짧은 지연시간을 제공하는 리전으로 라우팅하는 기반 장애조치(Failover) 라우팅 기본 라우팅이 실패하면 보조 라우팅으로 자동 변경되는 방식 * 보조 라우팅은 상태검사가 없음 지리적위치(.. 2023. 1. 19.
AWS API Gateway Private Rest 만들기 VPC Endpoint 생성 → Private Rest API 생성→ 프록시 Lambda 생성 → Private Rest API 서비스 및 메소드 생성 → VPC 권한 정책 수정 → Rest API 배포 [ Private Rest API 생성하기 ] AWS VPC Endpoint 생성 [ VPC Endpoint 생성 ] API Gateway 용 VPC 엔드포인드 생성이 필요 통신 하고자 하는 VPC 와 연결 필요 [ Execute api 서비스 엔드포인트 생성 ] 서비스 이름을 execute로 검색후 execute-api 선택 VPC 항목에 연결하고자 하는 VPC ID 선택 AWS 콘솔에서 API Gateway 검색 후 신규 API 생성 [ API 생성 클릭 ][ Rest Api Private - 구축 .. 2023. 1. 19.
Amazon API Gateway 기반 VPC Link 활용 방법 Amazon API Gateway는 어떤 규모에서든 개발자가 API를 손쉽게 생성, 게시, 유지 관리, 모니터링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백엔드 서비스의 데이터, 비즈니스 로직 또는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현관문” 역할을 하는 API를 클릭 몇번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API Gateway에서 액세스하는 백엔드가 프라이빗 VPC 안에 있는 EC2와 같은 리소스일 때 어떻게 안전하고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을까요? 이전에는 API Gateway가 인터넷을 경유해서 백엔드에 액세스했어야 했기 때문에 경로가 복잡해지면서 Latency도 추가적으로 늘어가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제는 VPC Link라고 하는 프라이빗 VPC와의 엔트포인트를 통합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API Gat.. 2023. 1. 19.
[AWS] VPC Peering과 Transit Gateway 비교 AWS에는 VPC(Virtual Private Cloud)라는 가상의 사설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VPC를 이용하면 기존 온프레미스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사설(Private)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사설 네트워크 망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개발, 운영, 검증 과 같이 시스템 환경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비스 별로 구분하여 설계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VPC에 구축되어있는 VM서버들은 기본적으로 통신이 불가하며, VPC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려면 오늘의 주인공인 2가지 방법을 이용해야합니다. 바로 오늘의 주인공인 VPC Peering 과 Trasit Gateway 입니다. 오늘은 이 두가지 방법의 사전적.. 2023. 1. 18.
[추천] Set Up a Multi-Account AWS Environment that Uses Best Practices for AWS Organizations https://www.youtube.com/watch?v=uOrq8ZUuaAQ 2023. 1. 18.
랜딩 존 as a Service 왜 필요하고 어떻게 마이그레이션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VW3Asl0SB0M 2023.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