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41 [Linux 기초] 다운로드 방법 (wget, git) 명령어 기반 환경인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GUI 방식에서는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다운로드를 받는 형식이다. 하지만 리눅스 환경에서는 다르게 다운로드를 받는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중 하나가 wget이라는 프로그램이다. URL을 통해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게 가능하다. 그렇다면 URL은 어떻게 알아내야 할까? 이렇게 GUI 환경에 보면 Copy Link address를 할 수 있다. 이걸 복사한 이후 그 주소를 wget 뒤에 붙여 넣을 수 있다. 그 후 ls -l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은 download 파일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로는 git 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이다. git은 버전관리 시스템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구체적인 제품 중 하나이다. 이 git은 굉장히 .. 2022. 12. 11. [Linux 기초] Package Manager Package란 흔히 프로그램 혹은 애플리케이션 혹은 앱이라고 부르는 것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한다고 하는 것은 이러한 Package에 있는 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처리를 하는 것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행위라 할 수 있다. 윈도우나 맥과 같은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리눅스에서도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패키지들 역시 존재한다. ls, mkdir 등 모두 패키지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내장된 프로그램 말고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여러가지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때가 있다. 오늘날의 리눅스는 패키지 매니저를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이 매니저는 다운, 삭제 서칭 등 관리를 지원한다. 리눅스에서는 대표적으로 apt, yum이라는 것이 있다. .. 2022. 12. 8. [linux 기초] file edit (nano) 파일을 만들고 편집할 때는 어떤 명령어를 사용할까?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라고 하는 것은 정보를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 저장소라고 할 수 있다. 디렉토리라고 하는 것은 그 파일을 잘 정리정돈을 하기 위한 수납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맥과 같은 컴퓨터에서는 편집기를 이용한다 ex: 메모장 명령어 기반의 시스템에서도 형태가 다르지만 이러한 편집기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편집기로는 nano, vi가 있다. nano는 처음 리눅스를 쓰는 사람한테 추천하고 중, 고급자는 vi를 추천한다. vi는 익숙해지면 매우 편하지만 익숙해지기까지 어려울 수 있다. nano 편집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ano라고 입력한 후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서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 nano 편집기에서 가장 기본적인 h.. 2022. 12. 7. [linux 기초] --help & man 우리가 명령어를 사용할 때 그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때 인터넷을 찾는것도 방법이지만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메뉴얼을 찾는 것이다. 기본적인 명령마다 메뉴얼은 내장되어 있다. 우리가 폴더를 만드는 명령 mkdir 뒤에 --help를 붙여보자. 그러면 위처럼 mkdir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나오게 된다. Usage는 대부분의 명령어의 --help에 존재하며 사용법 용법을 의미한다. 즉 mkdir 명령어의 기본적인 동작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는 위에 있는 mkdir의 옵션중에서 p 옵션을 사용했다. mkdir은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하나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p 옵션을 붙여서 사용하게 된다면 dir4를 만들기 전 dir3를 만드려 하고 만약 또 dir2가 없으면 만드는 식으로 부모 디.. 2022. 12. 7. [Linux 기초] 리눅스 디렉토리와 파일 리눅스 기초를 통해서 생활코딩님의 리눅스 강의를 처음부터 따라하려고 한다. ls -al ls -al은 내가 머무는 디렉토리의 모든 (all)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al 명령어를 사용하면 숨겨져 있는 모든 파일들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리눅스는 명령어를 내리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하나의 명령어가 pwd 명령어이다. pwd pwd를 입력을 하고 엔터를 눌러보면 자신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폴더를 만드는 명령어는 무엇일까? mkdir hello_linux 바로 mkdir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로 hello_linux라는 폴더를 만든 후 ls를 통해 하위폴더에 hello_linux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 2022. 12. 6.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