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7 5.AWS Lambda 기초 ## 람다 호출방법 - 이벤트 기반 - AWS 다른 서비스 or APP 직접 or API Gateway 를 통해서 호출 ## 람다 생성 ## TEST 클릭 ## event 출력으로 변경후, Deploy 클릭 ## TEST 클릭, 호출 값 확인 ## SUM 코드 수정 (Deploy -> Test 클릭)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BEou7aN7AY&list=PLfth0bK2MgIbpsMNmche-YXWwwEN4qK5k&index=6 2023. 1. 15. 9-1. 컨테이너간 통신(네트워크) - 이론편 ## docker0 bridge - 172.17.0.0/16 ## 사용자 정의 NW 생성 가능 2023. 1. 15. 8-2. Docker Container Storage - 실습편 ## docker run -d --name db -v /dbdata:/var/lib/mysql -e MYSQL_ROOT_PASSWORD=pass mysql:latest - /dbdata 미생성시 자동으로 생성 ## docker exec -it db /bin/bash ## mysql -u root -ppass ## show databases; ## create database ttabae; ## 로컬디스크 /dbdata 와 연동 성공 ## 로컬디스크 미지정시 테스트 - /var/lib/docker/volumes/UUID/_data 에 저장됨 ## docker volume ls ## docker run -d --name web -p 80:80 -v /webdata:/usr/share/nginx/html:ro.. 2023. 1. 15. [총정리] Crontab 사용법 매일 혹은 정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예약작업이 있다. 리눅스에서는 이런 일을 해 주는 것이 cron이다. cron은 간단한 텍스트 파일에 할 일들을 기록하는데, 관리자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기록할 곳이 달라진다. 관리자 권한이 있다면 /etc/crontab 파일에 기록한다. 이 파일에 기록하면 한 눈에 예약 작업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명령을 실행할 사용자도 명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권한에 접근할 수 있다면 여기에 기록하자. 관리자 권한이 없다면 crontab -e 명령어를 실행해서 예약 파일을 편집한다. /etc/crontab 파일을 편집할 때와 달리 실행할 주체를 명시하는 부분이 없다. root 권한 있는 경우 - /etc/crontab 편집 root 권한이 있는 경우 /etc/cro.. 2023. 1. 15. 8-1. Docker Container Storage - 이론편 2023. 1. 15. 7-2. Docker 컨테이너 리소스를 관리해야지 - 실습편 ## 부하 테스트 프로그램 - stress FROM debian RUN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stress -y CMD ["/bin/sh", "-c", "stress -c 2"] ---------------------------------------------------------- docker build -t stress . ## docker run -m 100m --memory-swap 100m stress:latest stress --vm 1 --vm-bytes 90m -t 5s ## docker run -m 100m --memory-swap 100m stress:latest stress --vm 1 --vm-bytes 150m -t 5s ## docker run .. 2023. 1. 14.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