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7 [linux 기초] --help & man 우리가 명령어를 사용할 때 그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때 인터넷을 찾는것도 방법이지만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메뉴얼을 찾는 것이다. 기본적인 명령마다 메뉴얼은 내장되어 있다. 우리가 폴더를 만드는 명령 mkdir 뒤에 --help를 붙여보자. 그러면 위처럼 mkdir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나오게 된다. Usage는 대부분의 명령어의 --help에 존재하며 사용법 용법을 의미한다. 즉 mkdir 명령어의 기본적인 동작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는 위에 있는 mkdir의 옵션중에서 p 옵션을 사용했다. mkdir은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하나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p 옵션을 붙여서 사용하게 된다면 dir4를 만들기 전 dir3를 만드려 하고 만약 또 dir2가 없으면 만드는 식으로 부모 디.. 2022. 12. 7. [Serverless 기반 아키텍처/개발] 2강.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 테스트 S3 버킷 생성 - rw-image-test 생성 ## S3 접근을 위한 역할 생성 (IAM Role) - AmazonS3FullAccess 추가 - CloudWatchFullAccess 추가 - 역할 이름 : demo-image-resize-role 생성 ## 소스코드 확인 ## 람다 함수 생성 (서울리전 선택) - 함수 이름 : demo-image-resize - 기존 역할 : demo-image-resize-role 선택 - 에서 업로드 클릭 (Zip 파일 선택) ## S3에서 이벤트를 통해서 람다가 트리거되도록 작업 - S3 버킷 (rw-image-test) 속성 선택 --> 이벤트 알림 생성 클릭 - 기존에 생성한 람다 함수 연동 ## 람다에서 S3연동 확인 ## 최종 연동 테스트 .. 2022. 12. 7. [Java] Basic 용어 정리 Java Class 객체 지향 언어에서는 현실세계를 반영하기 위해 객체(Object)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현실세계에서 보는 사람들, 자동차, TV 등이 객체지향언어에서는 객체로 표현이 된다. 클래스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그 객체가 어떤 데이터를 갖고 어떤 연산을 하는지에 대해 정의한다. 클래스 정의 - 사람(Human)이라는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하자. 사람은 눈, 코, 입이 있고, 손과 다리가 있다. 이런것이 클래스에서는 데이터이다. 그리고 눈으로는 사물을 보고, 코로는 냄새를 맡고, 입으로는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는다. 이것이 클래스 관점으로 보면 연산이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멤버 변수와 멤버 메소드라고 기억하길 바란다. 코드로 정의를 해본다면 이렇게 된다. class Human{ String.. 2022. 12. 7. [AWS] AWS Microservice 란 (1/2) ? 2022. 12. 6. [Linux 기초] 리눅스 디렉토리와 파일 리눅스 기초를 통해서 생활코딩님의 리눅스 강의를 처음부터 따라하려고 한다. ls -al ls -al은 내가 머무는 디렉토리의 모든 (all)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al 명령어를 사용하면 숨겨져 있는 모든 파일들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리눅스는 명령어를 내리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그 중 하나의 명령어가 pwd 명령어이다. pwd pwd를 입력을 하고 엔터를 눌러보면 자신이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폴더를 만드는 명령어는 무엇일까? mkdir hello_linux 바로 mkdir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로 hello_linux라는 폴더를 만든 후 ls를 통해 하위폴더에 hello_linux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 2022. 12. 6. [Serverless 기반 아키텍처/개발] 1강.디커플링 2022. 12. 5.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