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9

CKA 시험 환경 준비 😀시험 전 결제 후에 시험 관련 페이지가 활성화 된다. 시험 날짜를 선택하고, 본인이 시험을 치루는 환경(pc, laptop)을 체크한다. Verify Name에 본인의 이름을 작성한다. (자격증에 표시될 이름) psi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 후, 마이크, 캠 등을 체크한다. 시험 시간 30분전에 접속하면 Take Exam에 시험 환경으로 접근할 수 있는 버튼이 활성화된다. 시험 날짜를 다시 잡고 싶다면 24시간 이전에 가능하다. 시험 당일 노쇼를 하게 되면, 탈락 후 무료 재시험 1회 기회를 주지 않는다. 준비가 안되었더라도 시험을 치루고, 재시험 기회를 받는 것이 낫다. 😀 시험 당일 PSI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시험을 치루게 된다. 시험 30분 전 PSI 콘솔로 접근 할 수 있다. 검증.. 2023. 9. 22.
SSH란 무엇인가? SSH란 무엇인가? SSH는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PC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며,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22번 포트를 사용하며,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통신이 노출된다 하더라도 암호화 된 문자로 보일 수 있게 한다. SSH 작동 원리 SSH의 보안 방식은 가장 대중적으로는 Key 방식을 사용한다. 사용자와 서버가 각각 키를 가지며 이 키를 대조하여 상대를 인증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키를 생성하는 방식에 따라 대칭키와 비대칭키가 나뉜다. 먼저 비대칭 키이다. 비대칭 키는 공개키와 비공개키로 나뉘며 공개키는.. 2023. 9. 20.
[완독][추천도서 - 블로그마케팅] 1퍼센트 블로그 마케팅의 법칙!! (경제적자유/역행자 동기부여) “상위 1등의 블로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대한민국 1퍼센트만 아는 성공의 법칙! 60억 매출 신화, 종합마케팅 15년차 전문가가 알려주는 블로그 마케팅의 모든 것! 블로그, 카페, 스마트스토어, SNS까지, 초보라면 무조건 이 책을 읽어라! ‘그들은 왜 성공하고 왜 나는 실패했을까?’ 대한민국에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은 셀 수도 없이 많지만 마케팅의 도구로서 블로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블로그는 스토리 콘텐츠를 이미지화 시켜 소비자와 교감을 나누는 마케팅, 나아가 자신의 브랜드 가치 상승과 수익화를 위해 가장 필요하고 강력한 도구라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마케팅을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기업 혹은 개인의 인지도와 이미지 그리고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 2023. 9. 15.
프록시란 무엇인가? 요즘 다루는 솔루션 중 프록시 방식으로 동작하는 솔루션이 존재해 프록시가 정확하게 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 해 보았다. 프록시란 무엇인가? 프록시란 대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프록시 서버란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프록시라고 하며 그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프록시 서버라고 하는 것이다. 프록시 종류 1. 포워드 프록시 특정 사이트에 클라이언트가 방문하려고 한다면 가고싶은 목적지의 사이트 주소를 프록시 서버로 전달하며 프록시 서버가 해당 목적지에 대한 내용을 받아 전달 해 주는 개념이다. 이 경우 내부망에서 외부망으로 접근을 할 때 .. 2023. 9. 13.
Linux 디스크 마운트 하기 디스크 마운트 하기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가리지 않고 디스크를 마운트 할 일은 굉장히 많다. 오늘은 디스크를 추가해서 마운트 하는 과정을 진행 할 것이다. fdisk -l 가장 먼저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해 줬다. 이 명령어는 현재 내 디스크와 파티션을 보는 것이다. 나는 가장 밑에 있는 /dev/sdc 에 위치한 32GiB의 하드디스크를 추가 해 주었다. 디스크 경로를 봤을 때 뒤에 숫자가 붙는 것은 하나의 디스크에 몇개의 파티션이 나누어 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파티션을 생성했다. 나는 하나의 파티션을 구성했고 파티션이 하나였기 때문에 전체 용량을 다 집어 넣어 주었다. 그 후 p를 통해 내가 설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w를 통해서 저장을 해 주었다. 그 후 ext4의 파일 형.. 2023. 9. 11.
ln이란 무엇인가? ln이란 무엇인가? 리눅스에는 파일 링크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서 ln 역시 link의 줄임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A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A까지 가지 않고 다른 경로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윈도우에 바로가기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링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먼저 경로의 단축을 위해서이다. 리눅스 부팅은 /etc/rc.d라는 디렉토리 밑에 있지만 etc 밑에 링크가 있어 바로 etc 하위로 실행할 수 있다. 두번째는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이다. 원본의 위치를 쉽게 노출시킨다면 파일의 변조에 취약하며 파일이 위험해 진다. 그런 것을 방지하며 여러 사람이 한 서버를 사용할 때 파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파일의 정합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ln 종류 링크에는 하드.. 2023. 9.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