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7 Dbeaver를 통한 RDS DB export DB를 백업하거나, 프로젝트 사이즈가 커져 더 큰 DB로 이관해야 한다거나, DB를 분석하기 위해서 DB를 export를 하곤 한다.DB를 export 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RDS를 사용하면 AWS 관리형 서비스 이므로 작업이 불편하다.이럴 때 DB Tool을 사용하여 Export 하면 작업이 편하다. 나는 대표적인 Tool인 DBeaver를 사용했다. 위를 보면 DB를 확인할 수 있다. 내가 Export 하려는 DB들을 드래그 한 후 우클릭 해 준다. 우클릭한 후 도구 -> Dump database를 눌러서 진행해 준다. 다음 선택 Start 해 준다. start를 하면 dump를 내 PC dump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2024. 10. 24. 인프라 무중단 배포 방식 무중단 배포란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하지 않고 배포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중단 시간을 가져간다면 개발자 및 인프라 담당자들은 편하게 작업할 수 있겠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을 가져온다.그렇다면 무중단 배포 방식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1. Rolling 배포Rolling 배포는 새로운 버전이 적용 된 서버와 적용되지 않은 서버가 공존하는 배포 방식이다.위 사진에서 보듯이 3개의 서버가 있다면 한대를 라우팅에서 제외한 후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다시 라우팅을 진행한다. 그 후 한대씩 점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장점으로는 추가 비용이 들지 않으며, 롤백이 쉽고, 관리가 간편하다는 점이다.단점으로는 구버전과 신버전이 공존하므로 호환성이나 버전에 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배포가 진행.. 2024. 10. 24. sudoers, sudoers.d/ 차이점 리눅스 일반 사용자가 관리자의 권한을 얻기 위해서는 sudo 권한이 필요하다. sudo 명령은 허용된 사용자한테 관리자의 권한으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권한을 주기 위해서는 sudoers 파일에 sudo 권한을 추가해 줘야 한다./etc/sudoers 이 파일은 읽기 전용(440)으로 되어있다. 해당 파일이 기본적인 sudo 파일이다.해당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visudo 명령어를 쓰거나 sudoers 파일에 수정권한을 부여하여 관리자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하지만 가급적으로 sudoers 파일을 건드리는것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해당 파일이 손상이 되면 시스템 전체 sudo 기능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그렇기에 /etc/sudoers.d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sudoers는 su.. 2024. 10. 22. 다수의 Linux user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방법 Linux 서버의 유저가 소수일 경우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은 어렵지 않다.하지만 서버 내의 유저 수가 많아진다면 그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작업은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그럴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chpasswd위 커맨드는 Standard Input을 활용해 리눅스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chpasswd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친 후 test01:test01!@ 과 같이 아이디와 변경할 비밀번호를 쌍으로 입력해주면 된다. 입력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Ctrl + d를 누르면 된다. 이 명령어는 단순히 stdin 기능만 있는것이 아닌 echo와 파이프라인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다. echo 'test01:12345' | ch.. 2024. 10. 22. [Route 53] cname 과 a record의 차이점 a record란 무엇인가? DNS에 저장되는 정보로, 도메인 주소에 서버 IP 주소를 직접적으로 매핑시키는 것이다. AWS의 경우 단순한 서버의 IP가 될 수도 있지만 ELB, beanstalk, CloudFront, GA, S3 등 다양한 앤드포인트를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cname이란 무엇인가?canonical Name 줄임말이다. 즉 도메인 주소를 다른 도메인 주소로 매핑시키는 형태로 도메인에 별칭을 적용하는것을 의미한다. 내가 test.com 이라는 도메인에 test-cname.com 으로 cname을 등록하게 되면 test.com으로 접속해도 test-cname.com으로 접속이 된다. A레코드는 앤드포인트가 변경되거나 IP가 변경될 때 같이 변경해줘야 하며 cname의 경우에는 도메.. 2024. 9. 24. AWS-Vault AWS Vault란? AWS 계정에는 accesskey, secret access key 가 존재한다. 이는 노출이 되면 안된다. 그래서 하드코딩으로 적어놓지 않고 별도의 환경파일로 만들어서 적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보안적으로 안전한게 아니다. AWS vault는 AWS 명령줄을 사용하기위한 보안 키를 각 환경의 보안공간에 안전하게 보관해 주는 도구이다.Mac의 경우 키체인, 윈도우의 경우 자격증명 관리자 등을 통해서 키를 사용할 때에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임시 세션키를 발급받아서 사용한다. 이 임시 세션키를 발급받아 사용하기에 유출사고가 있더라도 세션의 유효기간만 동작하기에 비교적으로 안전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waFOnh8oIE.. 2024. 7. 28. 이전 1 2 3 4 5 6 7 8 ··· 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