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9

tar 파일을 통해서 컨테이너 출력 및 이미지 생성하기 tar 명령어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출력하기도 해보고, 이미지를 작성 해보자 docker container export 이 명령어는 가동중인 컨테이너의 디렉토리, 파일들을 모아 tar 파일을 만드는 것이다. docker container export (컨테이너 식별) 먼저 container 하나를 만들어 주었다. 우리는 이 컨테이너를 example.tar 라는 파일을 만들 것이다. docker container export (컨테이너 식별자) > tar 이름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tar 파일로 출력 해 주었다. docker image save docker image save 명령어이다. docker image save (옵션) 파일명 (이미지명) 만약 nginx 이미지를 압축하고 싶다면 docker imag.. 2023. 8. 27.
Docker 이미지 생성하는 방법 Docker의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그와 반대로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Docker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Ubuntu, Centos 같은 이미지를 다운받은 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을 한 후 그것을 이미지로 만든다면 그 소스가 적용된 수많은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다. Docker 이미지 생성 명령어 컨테이너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docker container commit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docker container commit (옵션) (컨테이너 식별자) (이미지):(태그) 간단한 테스트 먼저 docker container run 명령어를 통해서 ubuntu 이미지를 컨테이너 화 시켰다. 우리는 이를 다시 이미지로 만들어 줄 것이다... 2023. 8. 25.
Docker 네트워크 Docker 네트워크 docker를 설치한 이후 docker network ls 명령어를 사용했다. 그러자 bridge, host, none 이 세 가지의 네트워크가 생성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ocker 를 설치한 상태에서 기본값으로 만들어 주는 네트워크 이다. bridge 가장 기본적인 설정이다.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기본으로 bridge 네트워크가 연걸된다. host PC와의 네트워크가 상이하다. 이는 포트포워딩으로 외부와 연결을 하며 같은 bridge 내의 컨테이너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bridge는 통신할 수 없게 한다. host 이는 host 의 네트워크 환경을 컨테이너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별도의 포트포워딩이 필요하지 않으며 한대의 컨테이너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None.. 2023. 8. 24.
Network - Ping 칠 때 DUP! 뜨는 현상 서버 테스트를 하다 보니 ping 으로 통신이 되는지 확인을 많이 한다. 그런데 ping 테스트를 진행 할 당시 64 bytes from 192.168.0.5: icmp_seq=1289 ttl=46 time=11018 ms (DUP!) 라고 하는 오류가 뜨면서 핑이 깨지기도 하고 응답 시간이 너무 느린 상태가 있었다. DUP란? dup는 duplication의 줄임말로 icmp_seq가 중복된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이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IP가 중복되는 경우나, LAN 상에서 루핑이 발생할 때 주로 나온다. 확인 결과 설정한 IP가 다른 서버의 IP와 같았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해 루핑이 돌아서 발생하였다. 서버의 IP를 바꿔주자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23. 8. 24.
도커 기초) 웹 서버 띄우기 1. 도커 설치하기 우분투 쿠버네티스 설치 (1) (tistory.com) 우분투 쿠버네티스 설치 (1) 1. docker 설치 가장 먼저 쿠버네티스를 다운로드 하기 전에 docker를 설치 해야 한다. 가장 먼저 apt-get을 통해 업데이트를 진행 해 준다. 그 후 필수 패키지를 설치 해 준다. 가장 먼저 apt-transport-https metaverse-cloud.tistory.com 먼저 도커 설치는 내가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기 위해 선행으로 작업했던 Docker 설치를 따라하면 된다. 2. 이미지 다운 docker pull nginx 명령어를 사용해서 nginx 최신 버전의 이미지를 다운로드 했다. docker images 라는 명령어를 통해 내 Linux VM에 어떤 이미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2023. 8. 22.
우분투 쿠버네티스 설치 (2) 저번 게시물에서는 마스터 노드와 워커노드를 하나씩 만든 후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설치 해 주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설치 이후의 마스터노드와 워커노드에 필요한 설정을 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1. 마스터 노드 설정하기 가장 먼저 master node로 설정하려고 하는 VM에 접속 한 후 kubeadm init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 명령어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초기화하여 새로운 마스터 노드를 생성하는 명령어 이다. 만약 오류가 발생 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sudo rm /etc/containerd/config.toml 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 sudo kubeadm init kubeadm init이라는 명령이 성공적으로 끝날 시 아래와 같은 .. 2023. 8.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