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89

Linux ) tar란 무엇인가? 리눅스를 접하다 보면 tar 형태의 파일을 많이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tar란 무엇일까? tar 정의 tar란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압축 형태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Type Archive의 줄임말로 우리가 흔히 아는 테이프를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과거에는 tar 자체를 백업 용도로 사용했었다. 그래서 데이터를 하나로 묶고 저장을 한 것이고 그래서 Archive라는 말을 쓰는 것이다. tar는 단순 아카이브 기능 즉 백업의 기능을 가지므로 완전히 똑같은 파일을 복사한 후 .tar로 묶이게 된다. 즉 묶이기 전 파일들의 속성과 링크, 디렉토리의 구조를 그대로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한다. tar 파일은 압축한다 라는 표현은 쓰지만 실제로는 데이터의 크기가 줄어들지는 않는다. 이는 .. 2023. 8. 13.
CentOS 7 사용자 관리 리눅스는 여러명의 사용자가 한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해 주지 않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시스템에 많은 변화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고 그에 할당하는 권한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 리스트 확인 가장 먼저 진행 할 것은 사용자에 대한 리스트 확인이다. [root@localhost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lp:x:4:7:lp:/var/spool/lpd:/sbin.. 2023. 8. 11.
TCP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TCP란 무엇인가? 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넷 프로토콜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와 함께 TCP/IP로 불린다. 전송 계층의 대표적인 연결 지향 프로토콜로 하위 계층에서의 패킷 손실, 중복 오류 등의 전송 문제를 검출하고 해결한다. IP가 패킷을 목적지까지 보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패킷의 안전성과 순서를 보장하지 못한다면 TCP가 그 역할을 이행한다. 3 way handshake란 무엇인가? TCP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Client -> Server : TCP SYN Server -> Client : TCP SYN ACK Client -> Server : TCP A.. 2023. 8. 10.
[참고] CloudTrail !! [ CloudTrail ] CloudTrail 은 사용자 이벤트 로깅과 비슷한 기능으로 default 로 활성화 되어있으며 무료임. 콘솔/SDK/CLI/AWS Services 에서의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음 - Provides governance, comliance and audit for your AWS Account - CloudTrail is enabled by default - Get an history of events / API calls made within your AWS Account by : Console/SDK/CLI/AWS Services - Can put logs from CloudTrail into CloudWatch Logs or S3 - A trail can be appli.. 2023. 4. 3.
[중요] Query AWS ALB Access Logs in Amazon S3 with Athena Athena를 사용하여 Amazon S3에서 AWS ALB 액세스 로그 쿼리 ## 위 작업전에 하기처럼 S3버킷에 폴더 생성 필요 ## Run query 수행후, alb_logs 테이블 생성 ============================= CREATE EXTERNAL TABLE IF NOT EXISTS alb_logs ( type string, time string, elb string, client_ip string, client_port int, target_ip string, target_port int, request_processing_time double, target_processing_time double, response_processing_time double, elb_status.. 2023. 4. 2.
[중요][AWS] ELB(ALB) 로그 활성화 & S3에 로그 저장하기 ALB Access Log ALB Access Log는 말 그대로 단순 트래픽 로그다. 로드밸런서 DNS를 통해 사용자들이 로드밸런서를 경유해 인스턴스로 접속할때 기록된다. 이 로그를 통해 ELB-respose, Target-response, Client, 접근 경로 등을 알 수 있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를 올린다면 자주 접해야 하는 로그이다. 하지만 Access Log를 통해 Client의 요청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무슨 에러를 뱉었는지, 어떤 요청을 했을 때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등 대략적인 추측이 가능하나, 정확한 점검을 위해선 어플리케이션 점검이 필수적이다. ALB Access Log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 Timstamp는 UTC 기준 : KST 기준이 아니므로 특정 시간대의 트래.. 2023. 4.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