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42

프록시란 무엇인가? 요즘 다루는 솔루션 중 프록시 방식으로 동작하는 솔루션이 존재해 프록시가 정확하게 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 해 보았다. 프록시란 무엇인가? 프록시란 대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프록시 서버란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프록시라고 하며 그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프록시 서버라고 하는 것이다. 프록시 종류 1. 포워드 프록시 특정 사이트에 클라이언트가 방문하려고 한다면 가고싶은 목적지의 사이트 주소를 프록시 서버로 전달하며 프록시 서버가 해당 목적지에 대한 내용을 받아 전달 해 주는 개념이다. 이 경우 내부망에서 외부망으로 접근을 할 때 .. 2023. 9. 13.
Linux 디스크 마운트 하기 디스크 마운트 하기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가리지 않고 디스크를 마운트 할 일은 굉장히 많다. 오늘은 디스크를 추가해서 마운트 하는 과정을 진행 할 것이다. fdisk -l 가장 먼저 fdisk -l 명령어를 사용해 줬다. 이 명령어는 현재 내 디스크와 파티션을 보는 것이다. 나는 가장 밑에 있는 /dev/sdc 에 위치한 32GiB의 하드디스크를 추가 해 주었다. 디스크 경로를 봤을 때 뒤에 숫자가 붙는 것은 하나의 디스크에 몇개의 파티션이 나누어 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파티션을 생성했다. 나는 하나의 파티션을 구성했고 파티션이 하나였기 때문에 전체 용량을 다 집어 넣어 주었다. 그 후 p를 통해 내가 설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w를 통해서 저장을 해 주었다. 그 후 ext4의 파일 형.. 2023. 9. 11.
ln이란 무엇인가? ln이란 무엇인가? 리눅스에는 파일 링크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서 ln 역시 link의 줄임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A에 저장된 실행파일을 A까지 가지 않고 다른 경로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윈도우에 바로가기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링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먼저 경로의 단축을 위해서이다. 리눅스 부팅은 /etc/rc.d라는 디렉토리 밑에 있지만 etc 밑에 링크가 있어 바로 etc 하위로 실행할 수 있다. 두번째는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이다. 원본의 위치를 쉽게 노출시킨다면 파일의 변조에 취약하며 파일이 위험해 진다. 그런 것을 방지하며 여러 사람이 한 서버를 사용할 때 파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파일의 정합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ln 종류 링크에는 하드.. 2023. 9. 6.
이중화 - DRBD란 무엇인가? DRBD란 무엇인가? distributed replicated storage system 의 줄임말로 분산 복제 스토리지 시스템의 줄임 말이다. drbd는 HA 즉 고가용성 클러스터 구축을 하기 위해 디자인 된 디바이스이다. 이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Raid1의 방식으로 동작을 한다. Raid1은 데이터 백업을 미러링하는 구성이다. DRBD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러링 하게 된다. DRBD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러링만 하므로 다른 유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DRBD는 HeartBeat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테스트에서는 클라우드 리눅스 시스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장점 장점은 오픈소스로 이중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별도의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한게 아닌 네트워크 .. 2023. 9. 2.
우분투 22.04 MariaDB 특정버전 설치 방법 가장 먼저 우분투 22.04의 시스템을 준비 해야 한다. 나는 Azure VM을 통해 생성했다. https://mariadb.org/download/ Download MariaDB Server - MariaDB.org REST API Release Schedule Reporting Bugs … Continue reading "Download MariaDB Server" mariadb.org 가장 먼저 마리아 DB의 공식 홈페이지를 들어가 준다. 들어가서 보면 가장 먼저 OS를 선택할 수 있다. 나는 Ubuntu 22.04 버전이므로 22.04를 선택 해 주었다. 그 후 자신이 원하는 Maria DB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나는 10.6 버전을 선택했다. 그 이후 Mirror 링크를 어디에서 받을 건지.. 2023. 8. 29.
Network - Ping 칠 때 DUP! 뜨는 현상 서버 테스트를 하다 보니 ping 으로 통신이 되는지 확인을 많이 한다. 그런데 ping 테스트를 진행 할 당시 64 bytes from 192.168.0.5: icmp_seq=1289 ttl=46 time=11018 ms (DUP!) 라고 하는 오류가 뜨면서 핑이 깨지기도 하고 응답 시간이 너무 느린 상태가 있었다. DUP란? dup는 duplication의 줄임말로 icmp_seq가 중복된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이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IP가 중복되는 경우나, LAN 상에서 루핑이 발생할 때 주로 나온다. 확인 결과 설정한 IP가 다른 서버의 IP와 같았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에서 충돌이 발생해 루핑이 돌아서 발생하였다. 서버의 IP를 바꿔주자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23. 8. 24.
반응형